본문 바로가기
경제 및 사회 정보

주휴수당 계산법 및 지급기준

by KEI-C 2022. 11. 22.
반응형

주휴수당을 알고 계시나요? 열심히 일한 사람이라면 당연히 받아야 하는 수당인데, 챙겨 받지 못하고 계시진 않나요? 주휴수당 계산법 및 지급기준 알아보고 여러분의 권리를 챙길 수 있게 도와드리겠습니다. 주휴수당 뜻, 계산법, 조건, 지급기준 등 찬찬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주휴수당-thumbnail
주휴수당-thumbnail

 

 

주휴수당이란?

일주일 동안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에게 유급 주휴일을 주는 것입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 일주일 동안 정해진 근로일수를 개근한 노동자에게 1주일에 한 번씩 유급 휴일을 주어져야 합니다. 1주일 개근 근로를 하였을 때 주어지는 주 1회의 유급 휴일이 바로 주휴일입니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하루 8시간 일하는 조건이라면 5일 동안 8시간씩 성실히 일했을 때 고용인은 근로자가 하루를 쉬더라도 하루 일당을 추가로 임금으로 주어야 합니다. 이 주휴일에 쉬어도 추가로 주는 임금이 바로 주휴수당입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을 하라니 어려워 보이지만 쉽게 말해 일 안해도 하루치 더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간단합니다. 그리고 1일 최대 8시간까지 인정해 주기 때문에 9시간씩 5일 일해도 9시간으로 쳐 주진 않습니다. 계산법은 일주일 근로시간이 40 시간 미만인 경우와 근로 시간이 40 시간 이상인 경우 조금 다릅니다. 주휴수당은 '1일 근로시간 ✕ 시급'으로 계산합니다. 

 

일주일 근로시간 40시간 미만

(1주일 총 근로시간 ÷ 40시간) ✕ 8시간 ✕ 시급

예를 들면 최저시급으로 하루에 3시간씩 5일 동안일해서 주당 총 15시간 일하는 아르바이트 학생이 15시간을 모두 성실히 근무했다면 (15÷40) ✕ 8 ✕ 9160 = 27480 이라는 계산이 나오므로 그 주에 더 이상 일을 하지 않아도 27,480원을 임금으로 더 받아야 합니다. 

 

일주일 근로시간 40시간 이상

8시간 ✕ 시급
마찬가지로 최저시급으로 일주일 동안 40시간 일한 근로자의 경우는8 ✕ 9160 = 73280 이라는 계산이 나오므로 그 주에 더 이상 일을 하지 않다도 73,280원을 임금으로 더 받아야 합니다. 
 

주휴수당 조건

주휴수당을 지급하는 기준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를 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그리고 근로계약서 상에 기재된 소정 근로일을 개근으로 근무해야 합니다.
 

 

주휴수당 받지 못하는 경우

그 주에 결근이 1일이라도 있었을 경우, 그리고 일주일 미만의 단기 근로자의 경우는 주휴수당이 제외됩니다. 또 4주간 평균 일한 시간을 1주일로 따졌을 때 주 15시간 미만 일한 경우도 주휴수당을 받지 못합니다. 그리고 이 부분이 제일 잘 살펴보아야 하는 부분인데, 사전에 시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의한 경우입니다. 그래서 근로계약서를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하지만 시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계산해 보고 진짜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주휴수당이 포함된 시급은 최저 10,922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기타 주휴수당을 받지 못하는 것 같지만, 월급으로 받는 근로자의 경우는 월급에 일반적으로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출근을 한 경우 지각이나 조퇴를 했다해도 결근이 아닌 이상 주휴수당을 지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리고 주휴수당은 퇴사하거나 아르바이트를 그만 두게 되면 일을 그만 둔 후 1일 이내에 지급되어야 합니다. 14일 이내에 지급하지 않는 다면 임금체불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근로계약서도 작성하지 않았다면 함께 신고하면 고용인은 처벌 받게 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및 지급기준 확인하시고 내가 일한 만큼, 나의 휴식 시간도 보장받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