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및 교육 정보

통일신라의 교육

by KEI-C 2022. 7. 14.
반응형

신라는 당과 연합하여 백제와 고구려를 차례로 멸망시킵니다. 그리고 당의 군대까지 몰아내고 한반도의 지배권을 확보하게 됩니다. 즉 통일신라의 시대를 연 것입니다. 처음 백제와 고구려의 항복을 받아내기 위해 당의 힘을 빌렸다는 부분에서 아쉬움이 남는다는 역사적 해석도 있지만 당의 지배 야욕을 알아보고 결국 당을 몰아내었다는 부분에서 삼국 통일의 의의는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통일신라의 교육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통일신라의 학교 교육

신라는 삼국 통일 후 이전과는 확연히 차이 나는 넓은 영토와 많은 국민을 다스리게 됩니다. 신라는 넓은 영토와 많은 국민은 지배하기 위해 좀 더 제대로 된 국가 체제가 요구됨은 당연하였습니다. 그리고 이에 제대로 체계거 잡히니 교육기관의 필요성은 말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국학

이렇게 설립된 신라의 대표 교육기관이 바로 국학입니다. 국학은 신문왕 때 세워졌습니다. 국학은 중국에서 온 명칭입니다. 당시 중국에서는 중앙의 학교는 국학으로 지방의 학교는 향학으로 지칭하고 있었습니다. 통일을 위해 신라와 연합했던 당나라의 중앙 교육기관의 명칭이 국자감이었는데, 국학은 당나라의 명칭을 모방한 것으로 보입니다. 규모 또한 국학은 당나라의 국자감을 축소했으며 그 체제도 당나라의 국자감과 비슷했습니다. 국학의 교육과정으로는 필수 과목인 논어, 효경과 함께 예기, 주역, 좌전, 모시, 상서, 문선 등과 지금의 수학인 산학이 있었습니다. 국학의 교수진으로는 박사와 조교가 있었습니다. 이 교관의 호칭 또한 국자감에서 따온 것입니다. 화랑제도가 10대 한정의 교육제도였던 부분을 볼 때 국학의 입학 연령은 30세까지로 그 폭이 큰 편이었습니다. 신라는 골품제를 기반으로 한 확실한 계급 사회였지만 국학에서는 5두품 출신의 학생들도 교육을 통해 관직에 오를 수 있도록 열어둔 부분도 눈여겨볼만 합니다. 신분 같은 요소보다는 지식이나 능력을 중시하여 골품제 근간의 세습 제도의 취약점을 교육을 통해 개선하려는 의지가 엿보이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국학에서는 '독서삼품법'이 있었습니다. 독서삼품법은 학생들이 얼마나 많은 책을 읽고 이해하였는지에 따라 관리로 선발할 수 있는 제도였습니다. 즉 국학의 졸업시험이자 관리 등용 고사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국학에서는 당의 성격을 본받은 탓인지 공자의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고 점점 유교교육을 지향한 것으로 보입니다. 통일신라의 후대 왕들까지 국학에 와서 공자에게 제사를 지냈다는 것을 볼 때 중앙집권을 위하고 군신 관계의 예를 강조한 유교 교육을 권장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 국학 설립 후 약 100년 정도가 지나고는 국학생의 학비 지원을 목적으로 녹읍을 하사한 기록도 있습니다. 학생들의 학비를 국가에서 지원하여 학업에 전념하게 한 부분도 주목할 만합니다. 

 

지방학교

통일신라에서는 국학뿐 아니라 지방학교에도 관심이 쏠립니다. 중국의 학교 제도가 국학과 지방의 향학으로 나뉘었던바 지방에도 학교의 존재 여부 부분을 자연스레 생각하게 됩니다. 통일신라시대에 '향학'이라는 명칭 자체가 기록으로 남아있진 않습니다. 하지만 경덕왕 6년에 '각주에도 조교를 두었다.'라는 기록이 있는바, 지방에도 교관이 임명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각주에도 교육기관이 있어 교사를 파견한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각 '주'라는 지역 명칭 또한 그러하고 당나라의 지방학교가 '주학'이었음을 생각했을 때 통일신라의 지방학교, 주학도 존재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옵니다. 

 

통일 이전에는 학교보다는 무사 집단의 필요성이 컸기에 신라에는 화랑제도가 그 교육의 근간이 되었지만 삼국이 통일된 이후에는 국가적 상황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넓은 영토를 지닌 통일국가로서의 기세를 위해서도 학교 제도는 필요한 것이었습니다. 통일신라가 중앙과 지방에 학교를 설립한 것은 넓어진 국가를 경영하기 위한 관리의 양성을 위한 현실적 목표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또 중국의 영향을 받아 중앙과 지방에 학교가 필요하다는 유교적 전통 때문이기도 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유교에 관심이 많았던 근거로 신라에서 당나라 유학생이 많았던 부분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로써 알 수 있는 것은 통일신라에 국학이 존재함에도 당에 유학을 하러갈 만큼 국학을 당의 국자감보다 경시했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유학생 출신의 관직 등용이 일상화되자 국학이 자신들의 자존심을 지키기위해 관리 등용 시험인 독서삼품제를 내놓았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다행인 것은 원성왕 원년에는 유학생 출신보다 독서삼품 출신을 더 인정했다는 기록도 볼 수 있는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국학의 교육내용이 풍부해졌으며 국학 출신의 학생들의 능력이 검증되어 갔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교육이 신분제를 넘어서 능력을 검증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는 것은 국학이 교육기관으로서 얼마나 기틀을 잘 잡아갔는지 추측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다소 시작은 늦었지만 통일신라는 국학을 통해 교육제도를 정비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국학을 중심으로 통일신라의 교육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통일신라 이전의 신라 교육제도가 궁금하시면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삼국시대의 교육

 

반응형

'교육학 및 교육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의 교육  (0) 2022.07.16
고려시대의 교육  (0) 2022.07.15
삼국시대의 교육  (0) 2022.07.14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철학  (0) 2022.07.13
분석철학과 교육학  (0) 2022.07.12

댓글